반응형

세종대왕은 조선시대의 네 번째 왕으로, 그의 본명은 이도였습니다. "세종"이라는 이름은 왕이 된 후에 부여된 이름입니다. 그는 매우 지혜롭고 궁금증이 많아 학문을 사랑하였고, 이런 그의 열정 덕분에 우리가 오늘날까지 이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것이 바로 '한글'입니다.
그전에, 세종의 어린 시절부터 알아볼까요? 세종대왕은 조선의 세 번째 왕인 태종의 아들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많은 책을 읽었고, 똑똑하게 자라났어요. 그는 사람들 모두가 공부할 수 있도록 학교를 만들고, 많은 학자들을 집합시켜 여러 학문을 연구했어요.

그럼 세종대왕이 '훈민정음' 즉, 한글을 만든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고요. 당시에는 중국어를 썼는데, 그 글자를 배우고 읽기란 매우 어려웠어요. 그런데 세종대왕은 모든 사람들이 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새로운 글자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그 글자가 바로 '한글'입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해 주신 것만으로도 대단하지만, 그 외에도 많은 것들을 이루셨어요. 천문학에도 관심이 많았던 세종대왕은 하늘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관측하고 기록하려고 '천문과'라는 곳을 만들었어요. 또한, 농업에도 집중하여 농민들에게 더 많은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쳤고, 어려운 농민들을 위해 나라에서 농작물을 수확하고 보관하는 일을 도와주었어요.

그리고 세종대왕은 '관리가 힘들어야 백성이 편하다'는 이야기를 할 정도로 백성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깊었어요. 그는 신하들에게 엄격하지만, 백성들에게는 관대했고, 그들이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많이 노력했답니다.

그럼 이제 살짝 웃긴 이야기도 한번 들어볼까요? 세종대왕은 아버지인 태종이 육식을 좋아해 지나친 소비로 나라에 부담을 주었을 때, 태종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돼지고기 대신 묵을 먹는 '묵사발' 전략을 실행해 냈다는 이야기가 있어요. 이런 이야기를 통해 세종대왕의 지혜와 또 한편으로는 부드러운 아들로서의 모습도 엿볼 수 있죠.

세종대왕의 이런 훌륭한 지도 덕분에 당시의 조선은 많은 발전을 이루었어요. 그분이 남긴 유산은 지금도 우리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답니다. 한글로 쓰는 글을 보거나, 별을 보며 우주에 대해 생각하게 될 때, 농작물을 수확할 때, 그리고 어려운 사람을 돕는 일에 대해 생각할 때마다 우리는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을 기억하게 됩니다. 그는 우리에게 글쓰기의 중요성과 학문의 가치, 그리고 관리와 백성 사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이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는지 등 여러 가지를 가르쳐주었어요. 세종대왕처럼 백성을 위해 일하는 마음가짐을 가진 사람이 되는 것도 중요해요. 어떤 것을 배우고 그것을 실천하는 것, 그게 바로 세종대왕이 우리에게 전하고 싶었던 것 아닐까요? 이렇게 세종대왕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왕으로 기억되고 있답니다.

세종대왕의 이야기는 아직도 우리의 일상 속에서 계속되고 있어요. 그분이 남긴 유산은 우리가 공부하고, 일하는 방법, 그리고 우리가 대하는 사람들과의 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러니 우리 모두 세종대왕의 지혜를 기억하고 그의 가르침을 잊지 말아야겠죠?

1. 어린 시절, 지혜로운 눈길
세종대왕은 1397년 조선 태종의 3남으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남다른 총명함을 지니고 다양한 분야에 대한 호기심을 보였으며, 특히 천문학, 지리학, 음악 등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졌습니다.

2. 성장과정, 묵묵한 준비
10세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지만, 실권은 수렴청정 중인 수양대군이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어린 세종대왕은 즉위 초반부터 정치적 어려움을 겪었지만, 좌절하지 않고 묵묵히 학문에 정진하며 왕으로서의 역할을 준비했습니다.

3. 사회, 문화를 밝히는 찬란한 업적
세종대왕의 업적은 조선 사회와 문화 전반에 걸쳐 빛나는 흔적을 남겼습니다.
* 한글 창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과학적 문자인 한글을 창제하여 백성들의 문맹을 퇴치하고 사회 전반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 훈민정음 창제: 한글 학습 도서인 훈민정음을 통해 읽고 쓰는 능력을 널리 확산하여 교육 발전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 양반 문화 확산: 유교 윤리와 사림 문화를 장려하여 조선 사회의 기반을 다져주었습니다.
* 불교 탄압 강화: 불교 사찰의 토지를 몰수하고 유교를 국교로 삼아 조선 사회의 사상적 기반을 세웠습니다.
* 궁중 연희 발전: 악극, 춤, 무용, 가면극 등 다양한 예술 활동을 장려하고, 조선 궁중 예술의 꽃을 피웠습니다.
* 고전 문학 발전: '용비어천가', '석보상절' 등 뛰어난 문학 작품을 창작하여 한국 문학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 불교문화유산 보존: 불교 사찰이 보유한 경판, 불상, 건축물 등을 보호하고, 불교문화유산의 계승에 힘썼습니다.

4. 창의성과 예술성, 빛나는 영혼
탁월한 지도자였던 세종대왕은 동시에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감각을 지닌 인물이었습니다. 그의 업적에서 드러나는 창의성과 예술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글 창제의 과학적 사고방식: 단순한 문자 창제를 넘어, 새로운 언어학적 체계를 구축하는 탁월한 창의성을 보여줍니다.
* 훈민정음의 독창적인 구성: 알파벳과 표음 문자의 장점을 결합한 독창적인 문자 체계로서, 예술적 감각과 창의성을 드러냅니다.
* 궁중 연희의 다양한 예술적 표현: 음악, 춤, 무용, 가면극 등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결합하여 예술적 감각을 보여줍니다.
* 고전 문학 작품의 우아하고 풍부한 문체: 그의 문학 작품은 한국 문학의 황금기를 이끌었습니다.
5. 특별한 사건, 빛나는 지혜의 순간
* 집현전 설치: 학문 연구와 인재 양성을 위해 설립한 집현전은 조선 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 측우기 발명: 우선계, 간의, 자격루 등 과학적 측정 도구를 발명하여 과학 연구 발전에 힘썼습니다.
* 활자 발명: 금속활자를 발명하여 책 인쇄 기술을 발전시키고, 지식의 보급에 기여했습니다.
* 간의, 혼천의, 자격루: 장영실과 함께 천문 관측 기구를 개발하고, 측우기 발명, 활자 발명 등을 통해 조선의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반응형

'오늘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시대별 [1.선사 시대]  (0) 2024.11.28
유관순  (0) 2024.11.12
처용  (0) 2024.05.11
고조선  (0) 2023.12.06
선덕여왕  (0) 2023.11.08
반응형

세종
조선 제4대 왕(1418 – 1450)
 
세종(世宗, 1397년 5월 7일[1] ~ 1450년 3월 30일)은 조선의 제4대 국왕(재위 : 1418년 9월 9일 ~ 1450년 3월 30일)입니다. 세종의 업적에 대한 존경의 의미를 담아 '세종대왕'(世宗大王)으로 불립니다.
 
조선의 제4대 국왕으로 태종과 원경왕후의 아들 입이다. 형인 양녕대군이 폐세자가 되자 세자에 책봉되었으며 태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습니다.
 
세종은 과학 기술, 예술, 문화, 국방 등 여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습니다. 백성들에게 농사에 관한 책을 펴내었지만 읽지 못해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고,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자 체계인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습니다. 훈민정음은 언문으로 불리며 왕실과 민간에서 사용되다가 20세기 주시경에 의해 한글로 발전되어, 오늘날 대한민국의 공식 문자로써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과학 기술에도 두루 관심을 기울여 혼천의, 앙부일구, 자격루, 측우기 등의 발명을 전폭적으로 지원했고, 신분을 뛰어넘어 장영실, 최해산 등의 학자들을 후원하였습니다.
 
국방에 있어서는 이종무를 파견하여 왜구를 토벌하고 대마도를 정벌하였으며, 이징옥, 최윤덕, 김종서 등을 북방으로 보내 평안도와 함길도에 출몰하는 여진족을 국경 밖으로 몰아내고 4군 6진을 개척하여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으로 국경을 확장하였고, 백성들을 옮겨 살게 하는 사민정책(徙民政策)을 실시하여 국토의 균형된 발전을 위해서도 노력하였습니다.
 
정치면에서는 황희와 맹사성, 윤회, 김종서 등을 등용하여 정무를 주관하였는데 이 통치 체제는 일종의 내각 중심 정치제도인 의정부서사제의 효시가 되었습니다. 이 밖에도 법전과 문물을 정비하였고 전분 6 등법과 연분 9 등법 등의 공법(貢法)을 제정하여 조세 제도의 확립에도 업적을 남겼습니다.
 
1397년(태조 6년) 5월 15일[1](음력 4월 10일), 한성 준수방(서울 종로구 통인동)에서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당시 정안 군이던 아버지 태종과 어머니 민 씨(원경왕후)의 여섯 번째 자녀이자, 셋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태어날 당시 형 양녕대군 이제, 효령대군 이보와 정순공주, 경정공주, 경안공주 등 동복 친누나 세 명이 있었습니다. 아명은 막동(莫同)이고, 이름은 도(祹)입니다.
 
1408년(태종 8년), 충녕 군(忠寧君)에 봉해졌으며 같은 해에 소헌왕후가 되는 심온의 딸 심 씨와 혼인하였습니다. 어려서부터 독서와 공부를 좋아하였으며, 두 형과 함께 빈객으로 임명된 계성군 이래(李來)와 변계량에게 수학하였습니다. 이후 정몽주의 문하생인 권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습니다. 어려서부터 책을 한시도 손에 놓지 않아 눈병과 과로로 건강을 해치기도 하여, 태종은 책을 모두 감추게 하기도 했습니다.
 
1412년(태종 12년) 효령대군과 함께 대군으로 진봉 되어 충녕대군(忠寧大君)이 되었습니다. 충녕대군은 형제간 우애가 깊은 인물이고, 부모에게 지극한 효자로 각인되었습니다. 특히 친동생인 성녕대군에게는 형제 중 직접 병간호를 할 만큼 우애가 각별했으나 홍역을 앓던 성녕대군은 끝내 병을 털어내지 못한 채 사망하였습니다.
 
양녕대군과의 갈등
 
실록에는 충녕대군과 양녕대군의 갈등을 암시하는 내용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세자인 양녕대군이 옷을 차려입고 몸단장을 한 뒤 자기 모습이 어떠한지 아랫사람에게 묻자, 충녕대군은 "먼저 마음을 바로잡은 뒤에 용모를 닦으시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상왕 정종이 베푼 연회가 끝난 후 세자가 매형인 이백강의 첩인 칠점생을 데리고 가려 하자 충녕대군은 이런 세자의 행동을 지적하였고, 세자는 결국 칠점생을 데려가지 못하였습니다. 또한 세자가 조모인 신의왕후의 기일에 흥덕사에서 향을 피운 후 아랫사람들과 어울려 바둑을 두며 놀자, 충녕대군은 이런 세자의 행동을 지적하였고 세자는 불쾌해하였습니다.
 
양녕대군은 기생 어리(於里)를 사랑하여 여러 차례 궁에 몰래 들였고, 이에 따라 태종에게 꾸지람을 들었습니다. 양녕대군은 충녕대군이 태종에게 어리에 대한 얘기를 했을 것이라며 원망하였습니다. 양녕대군은 태종에게 혼나면서 공손하지 못한 말투와 행동을 보이며 말대꾸했는데 이때마다 충녕대군이 양녕대군을 타일렀습니다.
 
세자 책봉과 즉위
 
1418년(태종 18년) 6월 3일, 태종은 세자의 여러 가지 비행에 고심하던 중 신료들의 폐세자 주청에 대한 상소가 연이어 올라오자, 세자의 행동이 지극히 무도하여 종사를 이어받을 수 없다고 판단하여 세자를 폐위시키고 광주(廣州)로 추방하였습니다. 이어 충녕대군을 새로운 세자로 책봉하였습니다.
 
같은 해 8월 10일, 태종은 세자에게 양위하였습니다. 세자는 양위를 거절하였으나 오랜 기간 반복된 태종의 양위를 받아들여 경복궁 근정전에서 즉위하였습니다. 태종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으나 세종의 재위 초기에는 태종이 상왕으로서 군권과 인사권을 직접 행사하였고, 세종의 장인인 심온을 비롯한 외척 세력을 숙청하였습니다.
 
이후 세종은 신분을 가리지 않고 유능한 인재를 많이 등용하여 깨끗하고 참신한 정치를 펼쳐 나갔습니다. 그러면서도 인사와 군사에 관한 일은 세종 자신이 직접 처리함으로써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이루었습니다. 아울러 국가의 행사를 오례에 따라 유교식으로 거행하였으며, 사대부에게도 주자가례의 시행을 장려하여 유교 윤리가 사회 윤리로 자리 잡게 했습니다. 또한 사대사고를 정비하고, 《삼강행실도》, 《효행록》 등을 간행하여 유교를 장려하였습니다.
 
치세
 
대외 정책
 
세종은 명나라와의 외교에서 금·은 세공을 말과 포(布)로 대신토록 하는 데에 합의를 이끌었고, 여진과의 관계에 있어서 최윤덕과 이천에게 압록강 상류 지역에 4군(四郡)을, 김종서와 이징옥에게 두만강 하류 지역에 6진(六鎭)을 설치하도록 하였습니다.
 
일본과의 외교에서 초기에는 삼포 개항 등의 회유책을 썼으나 상왕 태종의 명령 아래 무력으로 대마도를 정벌하였습니다. 사령관 이종무의 실책으로 조선의 피해가 만만치 않아 실질적으론 군사적인 승리라고는 할 수 없었지만, 대마도주가 조선에 항복하여 조공할 것을 약속하였기에 부정적인 것 또한 아니었습니다.
 
공녀와 금은 조공 중지
 
조선은 기본적으로 명나라에 사대 정책을 취하였으며 매년 조공하고 조공품보다 후한 물품들을 받았으나, 공녀 등의 인적자원과 광물의 조공은 국가 재정의 큰 부담이 되었습니다.
 
태종과 세종대에 명나라에 처녀와 금은을 조공하였습니다. 처녀 조공은 처녀 진헌이라 불렀는데 태종대에는 진헌색이라는 기관을 설치했다. 세종 시대의 명나라에 조공으로 바친 공녀는 74명으로 태종 때의 40명 보다 증가하였다. 태종 때에 이미 명나라에 청하여 조공의 중지를 요청하였으나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명나라로 차출되는 공녀들은 이송 전 입궁하여 왕비의 위로를 받았으며, 남겨진 가족은 후하게 대접받았습니다. 태종 · 세종대에 조선인 공녀 중 일부는 명나라 황제의 후궁이 되었는데, 황제의 사망 후 순장되었습니다.
 
세종은 이복동생인 함녕군과 인순부윤 원민생등을 명에 보내어 작고 척박한 땅에서 금은이 나지 않음을 이유로 금은 조공을 면제해 줄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1430년(세종 12년)에 말과 명주, 인삼 등 다른 공물을 더 보내는 조건으로 처녀 조공과 금은 조공은 면제되었습니다.
 
고려 말부터 지속된 왜구의 노략질 문제는 처음에는 회유책을 써서 평화적 해결을 모색했습니다. 하지만 무로마치 막부의 전국적 통제에도 왜구의 남해안 노략질은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1419년(세종 1년), 왜구가 침입하자 그해 6월 19일, 이종무를 삼도 도절제사로 삼아 그로 하여금 삼도에 소속된 9명의 절제사들과 전함 227척, 군사 1만 7천 명을 이끌고 거제도의 마산포를 떠나 왜구의 근거지인 대마도를 정벌케 하였습니다. 열흘 후 대마도의 도주가 항복을 하였다. 이때 이종무는 왜구에게 잡혀 갔던 조선 사람과 함께 붙잡혀 있던 명나라 사람도 구출하였습니다. 조선군은 대마도의 항복을 받아들이고, 군대를 철수시켰습니다.
 
이후 대마도주의 간청을 받아들여 1426년(세종 8년) 내이포, 부산포, 염포 등의 3포를 개항하고, 1443년(세종 25년) 계해약조를 체결하여 세견선 50척, 세사미두 200석으로 무역을 허락하였습니다. [이러 정책은 왜구를 너그럽게 포용함으로써 노략질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자 함이었습니다. 실제로 이 같은 정책으로 14세기부터 지속된 왜구의 침입은 삼포왜란이 발생하기까지 약 100여 년 동안은 소강상태를 보였습니다.
 
4군 6진 개척
 
"祖宗所守, 雖尺地寸土, 不可棄也
조종(祖宗)께서 지키시던 땅은 비록 척지 촌토(尺地寸土)라도 버릴 수 없다."
 
— 《세종실록》 78권, 세종 19년(1437년) 8월 6일 (계해)
 
태종 이래 불안정한 압록강과 두만강 지역의 여진족을 무찌르기 위해 정벌 계획을 수립하였고 세종은 마침내 요동 정벌 이후 수그러들었던 북진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1432년(세종 14년), 두만강 하류의 석막을 공격하여 영북진(寧北鎭)을 설치하였습니다.
 
1433년(세종 15년), 최윤덕으로 하여금 압록강과 개마고원 일대의 여진족을 소탕할 것을 명하였습니다. 최윤덕이 이끄는 부대는 파저강 전투(婆猪江)에서 여진족을 무찔렀고 세종은 이 일대에 여연(閭延) · 자성(慈城) · 무창(茂昌) · 우예(虞芮) 등 4개의 군(四郡)을 설치하였습니다.
 
김종서가 이끄는 부대는 함길도 지역을 내습하는 여진족을 소탕하여 두만강 이북으로 몰아내고 1437년(세종 19년) 이 일대에 온성(穩城) · 경원(慶源) · 경흥(慶興) · 부령(富寧) · 회령(會寧) · 종성(鍾城) 등의 여섯 개의 진(六鎭)을 설치하여 북방 영토를 개척하였습니다.
 
이후 이 지역의 관리와 지배권을 강화하기 위해 삼남 지역의 주민을 이주시키고 토관제도 등을 실시하였습니다.
 
훈민정음 창제
1420년(세종 2년), 중앙 집권 체제를 운영하기 위해 정책 연구 기관으로 궁중 안에 집현전을 설치하여 그들을 일반 관리 이상으로 우대하였습니다.
 
1443년(세종 25년), 세종은 백성들이 당시의 문자인 한자를 쉽게 배우지 못하며, 우리말과 한자가 서로 통하지 않아 말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하지 못함을 안타깝게 여겨 친히 28개의 글자를 창제하였습니다. 글자의 모음은 음양의 원리를 기본으로 만들었으며 자음은 오행의 원리를 기본으로 만들었습니다.
 
“ 우리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한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끝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가엾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날마다 씀에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 《세종어제 훈민정음》
 
 
1446년(세종 28년) 9월 29일, 훈민정음을 반포하였고 예조판서 정인지가 서문을 작성하였습니다.
 
《계해년(1443년) 겨울에 우리 전하께서 정음(正音) 28자(字)를 처음으로 만들어
예의(例義)를 간략하게 들어 보이고 명칭을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 하였습니다.
사물의 형상을 본떠서 글자를 만들되 고전을 모방하고, 소리로 일곱 가지 음(音)을 맞추었습니다.
삼극(三極)의 뜻과 이기(二氣)의 오묘함을 모두 포괄하여 28자만으로 전환이 무궁무진하였습니다.
간략하면서도 요령이 있고 정밀하면서도 막히는 데가 없었습니다.
그런 까닭으로 지혜로운 사람은 반나절이면 이를 이해하고,
어리석은 사람일지라도 열흘이면 배울 수 있게 됩니다.
이 글자를 가지고 옛글을 해석하면 그 뜻을 알 수가 있으며,
송사(訟事)를 청단(聽斷)하면 그 실정을 알아낼 수가 있게 됩니다.
자운(字韻)은 청탁(淸濁)을 능히 분별할 수가 있고, 악가(樂歌)는 율려(律呂)가 능히 화합할 수가 있으므로
쓰고 싶은 말을 표현하지 못할 것이 없고, 어디를 가든지 통하지 못할 것이 없어서,
비록 바람소리와 학의 울음이든지, 닭의 울음소리 나 개 짖는 소리까지도 모두 표현해 쓸 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 《세종실록》 113권,
세종 28년(1446년) 9월 29일 (갑오) 》
 
 
재상 등용과 국정 분담
 
세종은 문치주의 정책을 펼치면서 세 명의 정승에게 조정의 대소사를 맡아보게 하였으며, 이것은 의정부서사제 시행이었습니다.
 
황희에게는 주로 인사, 행정, 군사 권한을 맡겼고 맹사성에게는 교육과 제도 정비, 윤회에게는 상왕 태종과의 중개자 역할과 외교 활동을 맡겼고, 과거 시험은 맹사성과 윤회에게 분담하여 맡겼습니다. 나중에 김종서가 재상의 반열에 오를 때쯤에는 국방 업무는 김종서에게 맡겨서 보좌하게 하였습니다. 맹사성과 황희는 같은 입장을 취하면서도 서로 다른 성품을 가졌습니다.
황희가 분명하고 강직했다면, 맹사성은 어질고 부드럽고 섬세했습니다. 또한 황희가 학자적 인물이었다면 맹사성은 예술가적 인물이었습니다. 윤회 역시 예술가적인 특성을 갖고 있었습니다. 세종은 이들 재상들의 재질과 능력을 보고 적합한 임무를 분담하여 맡겼습니다. 황희는 주로 이조, 병조 등 과단성이 필요한 업무에 능했고, 맹사성은 예조, 공조 등 유연성이 필요한 업무에 능했으며 윤회는 외교와 집현전 쪽을 주로 맡아보았습니다. 세종은 부드러움이 필요한 부분은 맹사성에게 맡기고, 정확성이 요구되는 부분은 황희에게 맡겼습니다. 따라서 황희는 변방의 안정을 위해 육진을 개척하고 사군을 설치하는 데 관여, 지원하기도 했고, 외교와 문물제도의 정비, 집현전을 중심으로 한 문물의 진흥 등을 지휘 감독하는 일을 맡기도 했습니다.
이에 반해 맹사성은 음률에 정통해서 악공을 가르치거나, 시험 감독관이 되어 과거 응시자들의 문학적, 학문적 소양을 점검하는 일을 주로 맡았습니다. 맹사성과 비슷한 윤회에게는 주로 외교 업무와 상왕 태종과의 매개자 역할, 외교 문서의 작성과 시험 감독관 등의 업무가 부여되었습니다. 세종은 이들의 능력을 알면서도 권력남용의 가능성을 우려하여 한 사람에게 대권을 모두 넘겨주지는 않았습니다. 이들 재상들은 맡은 분야와 업무를 서로 분장하거나 서로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맡은 역할과 성격을 떠나 이들은 모두 공정하고 공과 사를 명확하게 구분한다는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의정부 서사제 실시
 
세종은 맹사성, 황희, 권진, 김종서 등의 재상들에게 일정 부분의 권한을 위임하여 대신 정무를 주관하게 했습니다. 세종은 6조의 관료들이 병권과 인사권 외의 정무를 의정부 정승들의 의결을 거쳐 왕에게 전하게 하는 의정부 서사제를 실시합니다. 그런데 세종이 의정부 서사제를 실시한 표면적 이유는 건강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세종이 왕권의 상당 부분을 의정부로 옮기도록 결심한 배경은 영의정이 황희였기 때문입니다. 황희는 오랫동안 관직에 있었으므로 처세술에 능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야사인 《연려실기술》에는 황희가 어떤 젊은 성균관 유생으로부터 "정승이 되어서 임금의 그릇됨을 잡지 못한단 말이냐"라고 면박당했는데 도리어 기뻐했다고 합니다. 이후 18년 동안 황희는 명재상으로서 세종을 잘 보필하였습니다.
세종대의 또 다른 정승은 맹사성으로 그는 청렴한 관료였지만 자신의 의견이나 개성을 쉽게 드러내지 않았습니다. 세종은 맹사성 역시 적극적으로 신뢰하여 황희, 권진과 함께 그를 중용하였습니다. 또한 세종 후반기에는 황희 등이 천거한 김종서 등을 재상으로 중용하여 정사를 맡기기도 했습니다.
 
과학의 발전
 
세종은 정인지, 정초, 이천, 장영실 등에게 명하여 천문 관기구인 간의(簡儀), 혼천의, 혼상(渾象), 천문 기구 겸 시계인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해시계인 앙부일구와 물시계인 자격루, 누호(漏壺) 등 백성들의 생활과 농업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과학 기구를 발명하게 하였습니다. 궁중에 일종의 과학관이라 할 수 있는 흠경각(欽敬閣)을 세우고 과학 기구들을 설치했습니다.
 
천문과 역법
고금의 천문도(天文圖)를 참작하여 새 천문도를 만들게 했으며, 이순지와 김담 등에 명해 중국의 수시력과 아라비아의 회회력 등 주변국의 역법을 참고로 하여 역서(曆書)인 《칠정산(七政算)》 내편과 외편을 편찬하였는데, 서울을 기준으로 천체 운동을 정확하게 계산함으로써 독자적으로 역법을 계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순지는 천문, 역법 등에 관한 책인 《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을 편찬하였습니다.
 
금속활자와 인쇄술
태종 때 제작되었던 기존의 청동 활자인 계미자(癸未字)가 글자의 형태가 고르지 못하고 거칠다는 단점이 발견되자, 세종은 1420년에 경자자(庚子字), 1434년 갑인자(甲寅字), 1436년 병진자(丙辰字) 등을 주조함으로써 활판 인쇄술을 한 단계 발전시켰으며, 이 시기에 밀랍 대신에 식자판을 조립하는 방법으로 종전보다 인쇄 능률을 향상해 서적 편찬에 힘썼습니다.
 
도량형 통일 · 총통제작
1431년(세종 13년)과 1446년(세종 25년)에는 아악의 음률을 정하는 기준으로 쓰던 구리관인 황종관(黃鐘管)을 표준기(標準器)로 지정하여, 그 길이를 자(尺)로 삼고 담기는 물을 무게의 단위로 삼도록 함으로써 조선의 도량형을 확립시켰다. 또한 천자총통(天字銃筒), 지자 화포(地字銃筒)와 같은 신무기를 개발하는 것은 물론 총통의 제작 및 사용법에 관한 책인 《총통등록》(銃筒謄錄)을 편찬했다.
 
문물의 발전
 
음악 정비 · 편경 제작
세종은 관습도감(慣習都鑑)을 두어 박연으로 하여금 제례 때 사용하는 중국의 음악이었던 아악을 정리하여 향악과 조화롭게 결합했다. 또한 새로운 우막에 맞춰 새로이 편경과 편종 등의 새로운 악기를 만들었으며, 정간보를 통해 이 음악을 기록하게 하였다.
 
편경은 쇠나 흙으로 만들어져 소리가 고르지 못하고 음을 제대로 조율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나 1430년(세종 12년), 편경을 돌로 제작하여 고른 소리를 내게 하였다. 날씨나 온도가 변해도 형태가 바뀌지 않는 돌의 속성을 이용한 것이다.
 
서적 편찬
세종 본인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비롯하여 정인지, 권제(權踶)의 《용비어천가》, 정초와 변계문(卞季文)의 《농사직설》, 정인지와 김종서의 《고려사》, 설순(楔循)의 《삼강행실도》, 윤회(尹淮)와 신장(申檣)의 《팔도지리지》, 이석형(李石亨)의 《치평요람》, 수양대군의 《석보상절》, 김순의(金循義)와 최윤(崔潤) 등의 《의방유취》 등 각 분야의 서적이 편찬되었다.
 
문물 정비
농업과 양잠에 관한 서적의 간행하고 환곡법의 철저한 실시와 조선통보의 주조, 전제상정소(田制詳定所)를 설치하고 공정한 전세제도의 확립 등으로 경제생활 향상에 전력했다.
 
법전 정비
세종은 즉위 초부터 법전 정비에 힘을 기울였다. 1422년(세종 4년), 《속육전》의 완전한 편찬을 목적으로 육전수찬색(六典修撰色)을 설치하고 법전의 수찬에 직접 참여하기도 하였다. 수찬색에서는 1426년(세종 8년) 음력 12월에 완성된 《속육전》 6 책과 《등록 謄錄》 1 책을 세종에게 바쳤고, 1433년(세종 15년)에는 《신찬경제속육전》(新撰經濟續六典) 6권과 《등록》 6권을 완성하였다. 이후에도 개수를 계속하여 1435년(세종 17년)에 이르러 《속육전》의 편찬 사업이 완결되었다.
 
형옥제도 확립
그 밖에 형벌 제도를 정비하고 흠휼(欽恤) 정책도 시행하였다. 1439년(세종 21년), 양옥(凉獄), 온옥(溫獄), 남옥(男獄), 여옥(女獄)에 관한 구체적인 조옥도(造獄圖)를 각 도에 반포하였고, 1448년(세종 30년)에는 옥수(獄囚)들의 더위와 추위를 막아 주고, 위생을 유지하기 위한 법을 유시 하기도 하였다.
 
세종은 형정에 신형(愼刑) 및 흠휼 정책을 썼으나 절도범은 어린아이와 노인을 제외한 이에게 자자(刺字), 단근형(斷筋刑)을 정하였고, 절도 3범은 교형(絞刑)에 처하는 등 사회 기강을 확립하기 위해 형벌을 강화하기도 하였다. 사형수는 금부삼복법(禁府三覆法)을 도입하였는데, 사형수의 사형에 대하여 의금부에서 반드시 3심을 거쳐 결정하도록 한 제도이다.
 
이외에도 죄수의 자식을 부양하는 것과 유배 중의 죄수가 늙은 부모를 만날 수 있도록 지시하였다.
 
공법 제정
조선의 조세 제도는 토지와 노동력, 특산물을 국가에 바치는 조용조 제도였다. 세종은 이 가운데 조세 제도의 근간인 공법(貢法)을 제정함으로써 조선의 전세 제도 확립에도 업적을 남겼다.
 
종래의 세법이었던 답험손실법은 관리의 부정으로 인하여 농민에게 주는 폐해가 막심하였기 때문에 1430년(세종 12년)에 이 법을 전폐하고 1 결당 10두를 징수한다는 시안을 내놓고 문무백관에서 촌민에 이르는 약 17만 2806명을 대상으로 여론을 조사하여 57%의 찬성을 얻어냈으나 이에 대한 반대와 문제점이 제기되자 결론을 얻지 못하였다.
 
1436년(세종 18년), 공법상정소(貢法詳定所)를 설치하여 집현전 학자들도 이 연구에 참여하게 하는 등 연구와 시험을 거듭하여 1444년(세종 26년) 공법을 확정하였다.  이 공법의 내용은 토지를 비옥도에 따라 6등급으로 나누어 세금을 내는 전분육등법(田分六等法)과 매년 농사의 풍흉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최대 20두에서 최소 4두까지 거두어들이는 연분구등법(年分九等法)이다. 이후 공법은 조선시대 세법의 기본이 되었다.
 
애민정책
세종은 '임금의 직책은 하늘을 대신하여 만물을 다스리고, 백성을 사랑하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 人君之職, 愛民爲重
임금의 직책은 백성을 사랑하는 것을 중하게 여기는 것이다. ”
 
— 《세종실록》 76권,
세종 9년(1427년) 12월 20일 (계유)
1437년(세종 19년), 굶주리는 백성들이 발생하자 경기도와 강원도에서 각전과 각관에 바치는 반찬을 없앴다.
 
관비(관청에 소속되어 있는 여자 종)가 출산할 경우, 1주일의 산후 휴가만 주어졌는데 출산 후 100일을 쉬도록 명을 내렸으며, 관비의 남편 또한 산후 1개월의 휴가를 주었다. 이러한 명령에 대해 당시의 일부 관료들이 비판하였지만 이를 그대로 시행하였다. 또한 노비를 가혹하게 다루거나 살인을 저지르는 자에 대해서 법령에 따라 엄중히 처단할 것을 명하였다.
 
이 밖에도 나라의 노인들을 우대하였으며, 쌀과 의복을 내려 구휼하였고 때로는 양로연을 열어 노인들을 위로하였다. 승정원에서 양로연에 초대받은 노인 중 천민의 참석을 중지할 것을 요구하며 상소를 올렸으나, 세종은 이를 일갈하며 노인의 신분에 관계없이 죄를 지은 자가 아니면 모두 참석하도록 지시하였다.
 
불교에 귀의
유교 이념에 의해 건국된 조선은 전왕조인 고려가 불교의 폐단으로 인해 쇠퇴하였음을 경계하며 억불 정책을 실시하였으나, 천년 넘게 이어져 온 불교 신앙은 민간은 물론 왕실 내에서도 하루아침에 사라지지 못했다. 세종은 때에 따라 억불 정책을 펼치면서도 왕실 내의 불사를 직접 주관하였다.
 
재위 후반에 아들 광평대군과 평원대군이 잇따라 요절하면서, 세종과 소헌왕후는 비탄에 빠졌고, 곧 불교 사찰을 찾아다니며 이들의 명복을 비는 불사를 주관하기도 했다. 이어 소헌왕후마저 승하하자 세종은 세자와 대군들을 이끌고 불교 사원을 찾아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었다. 사간원과 사헌부에서 불교의 폐단을 지적하며 불사를 중단할 것을 청하였다.
 
이러한 숭불 정책에 유학자들의 반발이 거셌으나, 세종은 이에 개의치 않고 궁궐 내에 법당을 조성하고 불사 중창과 법회에 참석하였으며, 먼저 죽은 가족들의 넋을 위로하기도 하였다.
 
건강 악화
 
어린 시절부터 몸이 약한 데다가, 학문에만 전념하는 모습을 보여 아버지 태종에게 걱정을 샀던 세종은 젊은 시절 무리하게 국정을 돌본 탓에 집권 후반에 들어서면서 건강이 몹시 악화하였다. 각종 질병에 자주 시달려서 병석에 누워 정무를 볼 수 없게 되었고, 이러한 질병으로 인해 여러 번 세자의 섭정을 하려고 하였으나 신하들의 반대에 무산되었다.
 
세종은 학문을 좋아하고 육식을 즐겼기 때문에 젊은 시절 비만하여 몸집이 거대하였으나 노년에는 질병을 앓아 비쩍 말랐을 것으로 추측한다. 이러한 이유로 1948년 그려진 국가표준 영정이나 이당 김은호의 영정과는 다른 모습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세종이 사냥 외에 별다른 움직임이 적었기 때문에 종기(背浮腫)와 소갈증(消渴症, 당뇨병), 풍질(風疾)과 성병의 일종인 임질 등을 앓았다고 한다.
 
《세종실록》에는 세종이 시각 장애를 앓아 괴로워하는 기록이 있다. "내가 두 눈이 흐릿하고 아파서 봄부터 어두운 곳에서는 지팡이에 의지하지 않고는 걷기가 어려웠다." 등의 내용으로 세종이 시각에 장애가 있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세종은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해 식이요법으로 흰 수탉(백웅계)을 자주 먹었다. 이는 어의에 처방에 따른 것으로 그 자세한 내용은 훗날 세조 6년 1460년에 전순의가 편찬한 당대 최고의 식이요법서 《식료찬요 食療撰要》에 당뇨병 치료법으로 소개되어 있다.
 
최후
치세 말년에 이르러 병세가 악화하여 제대로 집무할 수 없게 되자 세자 향(문종)이 대리청정하였다. 집권 후반부에는 이런 각종 질병을 다스리기 위하여 자주 온천에 행차하였고 불교 사원을 방문하여 불교의 힘을 빌렸다. 1446년(세종 26년) 소헌왕후가 죽은 이후 건강은 더욱 악화하였다.
 
1450년(세종 32년) 2월 4일, 병세가 악화하여 영응대군의 집으로 이어 하였고 2월 17일 승하하였다.
 
묘호와 시호
1450년(문종 즉위년) 2월 22일, 시호를 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으로, 묘호를 세종(世宗)으로 세종의 세(世)는 '번성'을 의미하며 나라를 안정시키고 태평성대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뜻이 담겨 있다.
 
3월 13일, 허후, 정인지 등이 세종의 묘호는 중흥 혹은 창업의 업적을 이룬 군주에게 올리는 것인데 선왕은 이에 어울리지 않으니 문종(文宗)으로 고칠 것을 청했으나 문종은 선왕이 북방의 공훈이 있다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5월 21일, 좌의정 황보인이 길복(吉服)을 입고 빈 전에 나아가서 시호의 책보(冊寶)를 올렸는데, 그 시책(諡冊)은 다음과 같다.
 
능묘
능은 영릉(英陵)으로 소헌왕후와 한 봉분 안에 묻혀있는 합장릉이다.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에 위치하며 효종의 능과 함께 영녕릉(英寧陵)을 구성한다.
 
세종의 능은 원래 태종의 능인 헌릉 근처의 구룡산 부근이었으나 풍수지리에 좋지 않다는 이유로 1469년(예종 1년) 경기도 여주의 현재의 위치로 이장되었다. 이때 초장지였던 구룡산의 비석과 석물은 그대로 방치하고 새롭게 조성되었다. 1981년 구룡산 기슭에서 농사짓던 한 농부에 의해 최초로 묻혔던 능의 상석과 석물, 석수, 장명등 등이 발견되었고, 초장지 1km 지점인 내곡동 산 13번지에서는 비석이 발견되었다. 초장지의 비석과 석물 등은 세종대왕기념관 경내로 옮겨졌다.
 
기타
일화
왕자 시절에 지나칠 정도로 독서만 하여 시력이 나빠지자, 이를 걱정한 태종이 젊은 환관을 시켜 “모든 책을 치우고 쉬게 하라”라고 하자, 매우 상심하다가 우연히 병풍 틈에서 《구소수간(歐蘇手簡)》을 발견하고 기뻐하며 여러 번 읽었다.
첫 번째 며느리인 세자빈 김 씨(휘빈 김 씨)는 투기와 미신행위를 이유로 폐위하였고, 두 번째 며느리인 세자빈 봉 씨(순빈 봉 씨)는 궁녀와의 동성애 행위가 적발되자 폐위하였다.
적자 중에는 영응대군을, 서자 중에는 계양군을 가장 사랑하였다.
죽음을 앞두고 왕세자(문종)와 수양대군(세조)을 불러 사람들의 이간질에 휘말리지 말고 동생들을 아끼고 사랑하라고 당부하였다.
 
중첩된 혼인 관계
아버지 태종이 외척을 숙청한 반면 세종은 이들과 이중 삼중의 인척 관계를 형성한다.
 
세종의 왕비인 소헌왕후 심 씨의 작은아버지 심종은 세종의 고모부이기도 하다. 심종은 태조 이성계의 딸인 경선공주의 남편이며 세종의 장인 심온의 동생이다.
세종의 동서인 노물재의 어머니는 원경왕후의 여동생이며 민제의 딸이다. 따라서 세종의 이종사촌 형제가 된다. 노물재는 심온의 셋째 딸에게 장가들어 세종의 이종사촌임과 동시에 동서가 되었으며, 노물재의 아들이 성종 때의 영의정 노사신이다.
세종의 처남인 심준은 세종의 외삼촌인 민무휼의 사위이므로, 처남인 동시에 외사촌 매제가 된다.
세종의 보양식
세종은 정실 왕비인 소헌왕후 이외에도 10명의 후궁을 두었으며, 도합 11명의 처와 첩을 통하여 모두 19명의 아들과 7명의 딸을 얻었다. 세종의 넘치는 스태미나의 원천은 그가 평소에 즐겨 먹었던 보양식에 있었다. 세종은 평소 흰 수탉 고환 요리를 즐겨 먹었다. 이 요리는 중국에서 옛날부터 강정식품으로 먹었으며, 조선시대에도 임산부가 수탉을 먹으면 아들을 낳는다고 해서 손 귀한 집에서는 수탉을 찾았다. 세종의 수라상에는 항상 수탉의 고환을 벌꿀과 달걀흰자를 섞어 살짝 데친 요리가 올라왔다고 한다. [48] 당대에는 닭 자체가 귀했고, 특히 흰 수탉은 더욱 귀했기 때문에 수탉 고환요리는 민가에 전해지지 않은 채 비밀스럽게 전수되었다.

 

 

반응형

'오늘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사임당  (0) 2023.03.02
장영실  (0) 2023.02.13
대각선  (0) 2023.01.11
강감찬  (0) 2023.01.09
티라노사우루스  (0) 2023.01.08

+ Recent posts